“○○은행인데요, 고객님의 계좌가 위험합니다.” “택배 배송이 중단됐습니다. 링크를 눌러 확인하세요.” 이런 전화를 받아보신 적 있으신가요? 바로 보이스피싱입니다. 최근 중장년층을 노린 전화 사기가 더욱 교묘해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중장년층도 **쉽게 따라할 수 있는 스마트폰 전화 차단 방법**과 **스팸번호 설정, 자동 차단 앱 활용법**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립니다. 간단한 설정만으로도 사기를 미리 막고 소중한 재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.
1. 모르는 번호 전화 차단 기본 설정
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모르는 번호를 자동으로 차단하거나 무음으로 처리하는 기능이 기본 내장되어 있습니다.
안드로이드 기준:
- 전화 앱 실행 → 오른쪽 위 ‘점 3개’ 또는 ‘설정’ 선택
- ‘차단된 번호’ 또는 ‘스팸 및 통화 차단’ 메뉴 선택
- ‘모르는 발신자 차단’ 또는 ‘스팸 통화 무음 처리’ 켜기
아이폰 기준:
- 설정 → 전화 → ‘알 수 없는 발신자 음소거’ 메뉴 활성화
- 주소록에 없는 번호는 자동으로 음소거되고 부재중 통화로 남음
2. 수동으로 전화번호 차단하는 방법
스팸으로 의심되는 전화가 걸려왔다면, 해당 번호를 직접 차단할 수 있습니다.
- 통화 기록에서 차단할 번호를 길게 누르기
- ‘번호 차단’ 또는 ‘스팸 신고’ 선택
- 차단된 번호는 다시 전화하거나 문자를 보낼 수 없음
팁: 자주 전화 오는 스팸번호는 차단 리스트에 등록해두면 자동으로 막아줍니다.
3. 스팸차단 앱 활용 – 후후, T전화 등
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스팸차단 전문 앱을 활용하면 보이스피싱 전화나 광고성 전화를 자동으로 걸러낼 수 있습니다.
대표 앱:
- 후후: 통신사와 연동되어 스팸 번호를 실시간으로 차단
- T전화: SKT 이용자에게 기본 제공, 전화받기 전에 발신자 정보 표시
- KT 와이즈 통화: KT 이용자 전용 스팸필터 앱
사용법:
- Play스토어 또는 앱스토어에서 ‘후후’ 또는 ‘T전화’ 검색 후 설치
- 앱 최초 실행 시, 전화 접근 권한 허용
- 이후 전화가 오면 스팸 여부가 자동으로 표시됨
4. 보이스피싱 의심 사례
- “검찰청입니다. 당신 계좌가 범죄에 연루됐습니다.”
- “카카오톡 인증번호를 불러주세요.”
- “○○상품권을 구매해서 사진을 보내세요.”
- “자녀가 사고를 당했습니다. 병원비를 이체하세요.”
절대 주의: 이런 전화를 받았다면 침착하게 끊고 가족이나 금융기관에 먼저 확인하세요.
5. 스팸 문자도 함께 차단하기
전화뿐 아니라 스팸 문자를 통한 사기도 많습니다. 스팸 문자도 함께 차단하는 것이 좋습니다.
설정 방법:
- 문자 앱 실행 → 스팸 문자를 길게 누른 후 ‘스팸으로 차단’ 선택
- 후후 앱에서는 스팸 문자 자동 분석 및 신고 기능 제공
- 문자에 포함된 링크는 절대 누르지 말고 삭제하세요
6. 자주 묻는 질문
Q1. 차단해도 계속 전화가 와요. 왜 그런가요?
A. 발신번호를 바꾸는 수법(스푸핑)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스팸차단 앱으로 자동 필터링을 설정하세요.
Q2. 차단한 번호는 다시 풀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전화 앱 설정 > 차단된 번호 목록에서 차단 해제할 수 있습니다.
Q3. 보이스피싱을 당한 것 같아요. 어디에 신고하나요?
A. 경찰청(112), 금융감독원(1332), 또는 가까운 은행에 즉시 신고하세요.
마무리
보이스피싱은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위험입니다. 하지만 전화 차단 기능과 스팸 필터 앱을 제대로 활용하면 대부분의 피해는 미리 막을 수 있습니다.
오늘 소개한 설정 방법을 따라 스마트폰을 점검해보세요. 다음 글에서는 스마트폰 기본 기능 3가지 – 손전등, 계산기, 메모 기능 200% 활용법을 안내드릴게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