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족끼리 모임 일정, 사진, 영상 등을 공유하려면 카카오톡 단체방(단톡방)을 만드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.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에게는 단톡방을 만들고 사람을 초대하는 과정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카카오톡에서 가족 단톡방을 새로 만들고, 원하는 사람들을 초대하는 가장 쉬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. 누구나 따라 하기 쉽게 작성했으니, 이대로만 하면 단톡방을 금방 만들 수 있습니다.
1. 카카오톡 앱 실행하기
- 홈 화면 또는 앱 목록에서 노란색 카카오톡 아이콘을 찾습니다.
- 아이콘을 터치해 앱을 실행합니다.
2. 새 채팅방 만들기
- 하단 메뉴 중 ‘채팅’ 탭을 선택합니다.
- 우측 하단의 말풍선 + 연필 모양 버튼(새 채팅 만들기)을 누릅니다.
- ‘새로운 채팅’ 화면이 나타납니다.
3. 가족 구성원 선택하기
- 연락처에 저장된 사람들 중 단톡방에 초대할 가족들을 터치해서 선택합니다.
- 여러 명을 동시에 선택할 수 있으며, 선택된 사람은 체크 표시로 나타납니다.
- 선택이 끝났으면 오른쪽 상단의 ‘확인’ 또는 ‘채팅 시작’을 누릅니다.
4. 채팅방 이름 설정하기 (선택)
- 기본적으로 ‘OOO 외 ○명’으로 방 이름이 자동 생성됩니다.
- 채팅방 상단 제목을 누르면 ‘채팅방 이름 변경’이 가능합니다.
- 예: “김씨네 가족방”, “부산모임단톡”, “2025 설날 회의방” 등
5. 나중에 다른 사람 추가하는 방법
- 단톡방 안에서 상단 메뉴(점 3개 아이콘)를 누릅니다.
- ‘채팅방 설정’ 또는 ‘참여자’ 메뉴에서 ‘초대하기’ 버튼을 선택합니다.
- 추가로 초대하고 싶은 사람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면 됩니다.
6. 단톡방 사용 팁
- 사진이나 영상은 단톡방에 올리면 모든 가족이 동시에 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.
- ‘공지사항’ 기능을 이용하면 모임 날짜, 회비 등 중요한 내용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.
- 방 이름 옆에 ‘종 모양’ 아이콘을 누르면 알림 끄기/켜기 조절이 가능합니다.
결론 – 가족과 더 가까워지는 방법, 단톡방으로 시작하세요
단톡방은 단순한 채팅 공간을 넘어, 가족이 함께 소통하고 추억을 나누는 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.
사진을 공유하고, 안부를 묻고, 모임을 조율하면서 자연스럽게 가족 간 거리가 가까워집니다.
이 글이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부모님이나 어르신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 다음 편에서는 ‘폰 저장공간 부족할 때 해결하는 쉬운 방법’을 소개할게요!